≣ 목차
안녕하세요! 😊 혹시 매년 5월이 되면 '아, 근로장려금 신청해야 하는데…' 하고 머릿속이 복잡해지시는 분들 계신가요? 저도 그랬거든요. 바쁜 일상에 치이다 보면 놓치기 쉬운 게 바로 이런 정부 지원 혜택이잖아요. 하지만 근로장려금은 저소득 가구의 실질 소득을 지원해서 생활 안정에 큰 도움을 주는 정말 소중한 제도예요. 2025년에는 또 어떤 점들이 달라졌는지, 어떻게 하면 빠짐없이 신청해서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, 제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! 놓치면 너무 아깝잖아요, 그쵸?

2025년 근로장려금, 누가 받을 수 있나요? (신청자격) 📝
근로장려금을 받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해요. 바로 소득 요건과 재산 요건이랍니다. 이 두 가지를 모두 만족해야 신청할 자격이 주어져요.
1. 소득 요건 (2024년 총소득 기준)
가장 중요한 소득 요건부터 살펴볼까요? 2024년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소득을 기준으로 판단해요. 가구 구성에 따라 기준 금액이 달라지니, 우리 집은 어디에 해당하는지 꼭 확인해 보세요!
가구 유형 | 총소득 기준금액 |
---|---|
단독가구 (배우자, 부양자녀, 직계존속 없는 1인 가구) | 연간 총소득 2,200만원 미만 |
홑벌이 가구 (배우자 총급여 300만원 미만이거나, 부양자녀/직계존속 있는 가구) | 연간 총소득 3,200만원 미만 |
맞벌이 가구 (본인 및 배우자 각각 총급여 300만원 이상) | 연간 총소득 4,400만원 미만 |
여기서 '총소득'이란 근로소득, 사업소득, 종교인소득 등을 모두 합산한 금액을 말해요. 비과세 소득이나 직계존비속에게 받은 소득 등은 제외되니 이 점도 참고해주세요!
2. 재산 요건 (2024년 6월 1일 기준)
소득 기준을 통과하셨다면, 이제 재산 요건을 확인해야 해요. 2024년 6월 1일 기준으로 가구원 전체가 소유한 재산 합계액이 2억 4천만원 미만이어야 합니다.
- 재산에는 주택, 토지, 건물, 자동차, 예금, 전세금, 유가증권, 회원권 등이 모두 포함돼요.
- 중요한 건, 부채(빚)는 재산에서 차감되지 않는다는 점이에요.
- 전세금은 기준시가 55%와 실제 전세금 중 작은 금액으로 계산된다고 하니, 이 부분도 꼼꼼히 확인하세요!


2024년 12월 31일 현재 대한민국 국적이 아닌 분(대한민국 국적자와 혼인했거나 부양자녀가 있는 경우는 제외), 전문직 사업자 및 그 배우자, 그리고 2024년 중 다른 거주자의 부양자녀인 경우에는 신청할 수 없어요.
2025년 근로장려금, 어떻게 신청하나요? (신청방법) 📱
자격 요건을 확인하셨다면, 이제 신청할 차례예요! 2025년 근로장려금 정기 신청 기간은 2025년 5월 1일(목)부터 6월 2일(월)까지입니다. 이 기간 안에 신청하는 것이 가장 좋아요! 만약 기간을 놓치면 12월 1일까지 기한 후 신청이 가능하지만, 산정된 장려금의 5%가 감액되니 꼭 정기 신청 기간을 지켜주세요.
신청 방법은 크게 4가지가 있어요!
- 모바일 안내문으로 간편 신청: 국민비서, 카카오톡, 문자메시지로 모바일 안내문을 받으셨다면, 안내문에 있는 '신청하기' 버튼을 바로 눌러 신청할 수 있어요. 개별인증번호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로그인 없이 주민등록번호만으로 신청 가능하니 정말 편리하죠!
- QR코드 스캔 신청: 우편으로 받은 안내문에 있는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해서 신청하는 방법도 있어요.
- 홈택스(PC/모바일 앱) 신청: 국세청 홈택스 웹사이트(www.hometax.go.kr)에 접속하거나, 손택스(모바일 앱)를 설치해서 신청할 수 있어요.
- 안내문을 받은 경우: 홈택스/손택스 접속 → 장려금·연말정산·전자기부금 → 근로·자녀장려금 선택 → 신청하기 → 로그인(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, 개별인증번호 8자리 입력) → 신청 요건 확인 및 연락처, 환급계좌 등록 후 신청 완료.
- 안내문을 받지 않은 경우: 홈택스/손택스 접속 → 장려금·연말정산·전자기부금 → 근로·자녀장려금 선택 → 신청하기 → 본인인증(공동/금융인증서, 간편인증) → 소득·재산 확인 및 연락처, 환급계좌 등록 후 신청 완료.
- ARS 전화 신청 (1544-9944): 전화 한 통으로도 신청이 가능해요! 1544-9944로 전화해서 음성 안내에 따라 신청하면 됩니다. 신청 안내문에 기재된 개별인증번호(8자리)를 입력해야 하는데, 국세청에 등록된 본인 연락처로 전화한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어요.


안내문을 받았다고 해서 자동으로 지급되는 건 아니에요. 반드시 위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서 직접 신청을 완료해야 장려금을 받을 수 있다는 점, 잊지 마세요! 그리고 2025년부터는 자동신청 대상자가 연령 구분 없이 신청 안내 대상자 전체로 확대되었다고 해요. 자동신청 동의를 하면 2년간 자동으로 신청되니 정말 편리하겠죠?
2025년 근로장려금, 언제 받을 수 있나요? (지급일) 💰
열심히 신청했으니, 이제 언제쯤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하시죠? 신청 유형에 따라 지급일이 조금씩 달라져요.
- 정기 신청분 (5월 신청): 심사를 거쳐 보통 9월 말까지 지급됩니다.
- 반기 신청분 (하반기 소득분, 3월 신청): 2024년 하반기 소득에 대한 반기 신청분은 6월 말에 지급된다고 해요. (참고로 2025년 상반기 소득분은 9월 신청, 12월 말 지급 예정입니다.)
- 기한 후 신청분 (6월 3일 ~ 12월 1일 신청): 신청일로부터 약 4개월 이내에 지급됩니다.
지급일이 주말이거나 은행 시스템에 따라 입금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으니, 조급해하지 마시고 홈택스나 손택스의 '지급내역 조회' 메뉴를 통해 직접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해요!


글의 핵심 요약 📝
2025년 근로장려금, 복잡해 보이지만 핵심만 알면 어렵지 않아요! 제가 오늘 알려드린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해 드릴게요.
- 소득 요건: 가구 유형(단독, 홑벌이, 맞벌이)에 따라 2,200만원, 3,200만원, 4,400만원 미만의 연간 총소득을 확인하세요.
- 재산 요건: 2024년 6월 1일 기준 가구원 전체 재산 합계액이 2억 4천만원 미만이어야 해요. (부채는 차감 안 돼요!)
- 신청 기간: 정기 신청은 2025년 5월 1일 ~ 6월 2일! 이 기간을 놓치면 감액되니 꼭 기억하세요.
- 신청 방법: 모바일 안내문, QR코드, 홈택스(PC/모바일 앱), ARS 전화(1544-9944) 중 편한 방법으로 신청하세요.
- 지급일: 정기 신청은 9월 말, 반기 신청은 6월 말(하반기 소득분) 또는 12월 말(상반기 소득분), 기한 후 신청은 4개월 이내 지급됩니다.
2025 근로장려금 핵심 요약!
자주 묻는 질문 ❓
오늘은 2025년 근로장려금의 신청자격과 신청방법, 그리고 지급일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어요.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, 차근차근 살펴보면 누구나 쉽게 신청할 수 있답니다. 이 글이 여러분의 근로장려금 신청에 작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요!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물어봐 주세요~ 😊

'유익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개인택시 양수교육 일정 예약과 신청방법, 이대로 따라오면 끝! (3) | 2025.06.26 |
---|---|
소상공인의 든든한 버팀목! 희망리턴패키지로 사업 정리부터 재창업/재취업까지 원스톱 지원 (4) | 2025.06.25 |
해외 투자, 해외여행 필수! 2025년 하반기 달러 환율, 어떻게 될까? (8) | 2025.06.25 |
종합소득세 환급, 스마트하게 받는 법 (0) | 2025.05.14 |
생명을 나누는 방법! 장기기증 신청 방법과 조건 알아보기 (1) | 2025.02.08 |